자동차 보험에 가입할 때 약관을 꼼꼼히 읽어보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하지만 막상 사고가 나면 "이건 보상되나요?"라는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자동차 보험 약관은 복잡하고 법률 용어도 많아 이해가 쉽지 않지만, 핵심 개념만 정확히 알면 충분히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보험 약관 속 어려운 용어들을 쉽게 풀어 정리해드립니다.
1. 대인배상
사고로 상대방에게 인적 피해를 입혔을 때 보상하는 항목입니다.
- 대인배상Ⅰ: 의무 가입. 피해자에 대한 기본적인 치료비 보장
- 대인배상Ⅱ: 추가로 발생하는 손해에 대해 보장 (자율 가입)
2. 대물배상
사고로 상대방 차량이나 재물에 손해를 끼쳤을 때 보상하는 항목입니다.
- 보상 범위: 상대방 차량 수리비, 벽·기둥 파손 복구비 등
- 보장 한도: 계약 시 정한 최고 보상금액 내에서 보장
3. 자기신체사고 vs 자동차상해
둘 다 운전자 본인과 동승자의 신체 피해를 보장하지만, 보장 범위와 방식이 다릅니다.
- 자기신체사고: 치료비 등 실제 지출액 중심 보장 (한도 설정)
- 자동차상해: 치료비 외에 위자료, 일실수입까지 폭넓게 보장
4. 무보험차 상해
상대방이 보험 미가입자거나 뺑소니를 당했을 때, 자신의 보험으로 보상받는 제도입니다.
- 필요성: 상대방 책임이 확실하지만 보상받기 어려운 경우 대비
5. 대인배상과 형사합의
대인배상Ⅱ로 치료비, 위자료가 지급되더라도 형사합의는 별개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상해 사고의 경우, 보험금 지급과 별도로 가해자가 피해자와 합의해야 형사처벌을 줄일 수 있습니다.
6. 특약(특별약관)
기본 보험 외에 추가로 가입하는 보장 옵션입니다.
- 긴급출동 서비스: 배터리 방전, 타이어 펑크 지원
- 렌터카 비용 지원: 차량 수리 기간 동안 대차 지원
- 자기부담금 면제: 사고 시 자기부담금 전액 또는 일부 면제
7. 과실비율과 보험금 감액
사고에 대한 과실비율에 따라 보상금이 조정됩니다. 본인 과실이 크다면 보상액이 줄거나 보험금 수령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100% 상대방 과실: 본인 보험 사용 없이 상대방 보험 청구 가능
- 본인 과실 50% 이상: 보상금 일부 감액, 혹은 본인 부담
8. 면책사항
특정 상황에서는 보험사가 보상을 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면책조항이라 부릅니다.
- 음주운전, 무면허운전 사고
- 고의 사고
- 피보험자의 중대한 과실
9. 보험료 할증 기준
사고 발생 시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사고의 경중, 과실비율, 보험금 지급액에 따라 다음 갱신 시 보험료가 오를 수 있습니다.
- 소액 사고: 소액 할증
- 중대 사고: 대폭 할증
- 비과실 사고: 할증 없음
마무리
자동차 보험 약관은 어렵고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 개념만 이해하면 실제 사고 발생 시 큰 도움이 됩니다. 보험사 제안만 믿지 말고, 본인의 권리와 책임을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앞으로 자동차 보험에 가입하거나 사고 처리를 할 때, 오늘 정리한 기본 용어를 꼭 떠올려보세요!